WebRTC

RTCP 실시간 전송제어 프로토콜, 실시간 수송제어 프로토콜

효진시원파 2016. 8. 21. 19:21

1. RTCP


  ㅇ RTP 세션의 품질 제어를 위한 별도의 제어용 프로토콜

     - RTP의 송수신과 관련하여 멀티미디어 세션 참여자들이 QoS 관련 정보를 (패킷지연,

       패킷손실, 지터 등) 주기적으로 교환하도록하는 역할을 함


       

2. RTCP 특징


  ㅇ 주요 기능 

     - 전송 품질 정보 제공

     - 여러 세션들 간의 연결성,집합성 정보 제공 (매체 간의 동기화)

     - 네트워크 혼잡제어,흐름제어 등 서비스품질 제어


  ㅇ 주기적으로 품질 정보를 멀티캐스팅

     - 멀티캐스트 환경에서 송신자는 주기적으로 모든 세션 참가자들에게 

       RTCP SR(송신자보고,Sender Report)를 보냄

        . 각 참여자들은 RTP를 제어하는데 사용


  ㅇ 망 제어 기여

     - 망이 혼잡한 경우에는 낮은 대역폭을 사용하는 코딩방식 사용, 

     - 여유가 있으면 고품질의 높은 대역폭을 사용하는 등의 제어 


  ㅇ 흐름 제어

     - 수신측에서 송신측으로 R R (Receiver Report) 및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S R

       (Sender Report)을 보내 RTP 데이터 스트림을 제어


  ㅇ RTP와 쌍으로 존재하며, 패킷 구조 및 포트 번호가 유사함

     - 패킷 구조 : RTP와 유사한 구조를 갖음

     - 포트 번호 : RTP 포트 번호(짝수)에  1을 더한 값으로 설정

        . RTCP 및 RTP는 잘알려진 UDP 포트번호(Well Known Port)를 사용하지 않고

          임시포트(Ephemeral Port)를 사용

     - 전송 방향 : RTP는 단 방향, RTCP는 양 방향


  ㅇ 망내에서 RTCP 패킷의 과다한 사용 방지

     - RTCP는 RTP가 사용하는 세션 대역폭의  5 퍼센트 이상을 사용할 수 없음

     * 즉, RTP 패킷 스트림 일부에 포함시켜, 전체 RTP 스트림의 5%를 초과 않음



  ㅇ 관련표준 : RFC 1889


참조할 곳

http://www.ktword.co.kr/abbr_view.php?m_temp1=1805